언어외길 [378112] · MS 2011 · 쪽지

2012-03-17 09:14:36
조회수 5,306

수능 언어를 종결할 수 있는 단 하나의 법칙 : 지문-선지 연결법이란?

게시글 주소: https://games.orbi.kr/0002834428

(1.6M) [1111]

2013 수능 예측 언어 by 언어외길.pdf

안녕하세요 오르비 - '2013 수능 예측 언어'의 저자 언어외길이라 합니다 ^^

이번 글에서는 오르비 유저분들께

제가 수능 언어 영역에서 가장 중시하는 한가지 법칙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일단 다음 평가원의 해설 사례를 보겠습니다.

사례1 언어 영역 - 2007년 06월 모의평가 49번

평가원의 답변 내용
온건한 공평주의자는 상황이 같을 때에만 개인적 선호가 허용될 수 있다고 주장합니
다. 지문의 여섯째 줄에 “사람들은 인종, 성별, 연령에 관계없이 모두 신
체와 생명, 복지와 행복에 있어서 동일한 가치를 지닌다.”라고 나와 있
듯이, 나이는 상황을 다르게 만드는 조건이 될 수 없습니다. 그러나 간병인이 있고
없음은 상황을 다르게 만드는 조건이기 때문에 순이의 외할머니와 친할머니가 처한
상황은 다릅니다. 그러므로 순이는 간병인이 없는 친할머니를 도와야 합니다.


사례 2. 언어 영역-2008 수능 33번

평가원의 답변 내용
정답은 ‘① 가족’입니다. 문제를 제기한 사람들의 주장은 ‘⑤ 우정’도 부등호의 배열이
‘<><>>’ 모양이 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지문의 넷째 문단에 “음절 초에는
‘ㅇ[ŋ]’을 제외한 대부분의 자음이 올 수 있지만”이라고 하여 음절 초에
‘ㅇ[ŋ]’이 올 수 없음을 분명히 언급하였습니다. 국어 음절 말의 표기 ‘ㅇ’은
자음으로 발음이 [ŋ]이지만, 음절 초의 표기 ‘ㅇ’은 자음이 아니라 자리를 채우기 위
한 기호일 뿐입니다. ‘우정’을 발음기호로 나타내면 [ŋuʤəŋ]이 아니라 [uʤəŋ]이 됩니
다. 이것을 지문의 개구도에 따라 부등호로 표시하면 ‘><>>’이 됩니다.

두 가지 사례를 살펴보면 평가원은 문제 해설을 할 때 구체적 위치를

들어가며 ‘지문의 몇 번 째 문단, 몇 째 줄에 어떠한 내용이 있다.’는 내용을 결정적인 근거로

삼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꼭 위의 두 가지 사례 뿐만 아니라 평가원은 대다수의 문제에서

위와 같은 문제 해설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문제를 해설하는 근거가 지문에 있어야 70만 명

이 깔끔하게 정답을 객관적으로 인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위의 사례를 통해, 우리는 다음과

같은 수능 언어의 가장 중요한 핵심을 알 수 있습니다.


핵심 1. 출제자는 문제를 해설하는 결정적인 근거를 지문에둘 수 밖에 없다.

핵심 2. 역으로 생각해보면 지문에서 문제를 풀 수 있는 결정적인 근거의 위치(몇 째 문단, 몇 째 줄)만 찾을 수 있다면 문제를 쉽게 풀 수 있다.

핵심 3. 따라서 문제에 있는 선지를 판단할 때, 지문에서 근거를 찾아서 지문과 선지의 내용을 연결, 비교, 대응해보는 연습이 가장 효과적인 수능 언어 공부의 본질이다.

저는 이러한 공부법을 '지문-선지 연결법'이라 칭하겠습니다.

지문-선지 연결법’은 수능 출제자가 문제를 출제하는 원리가 되는 법칙이며 평가원이 이의 제기 문항에 대해서 문제를 해설할 때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지문-선지 연결법’이란 문제에 있는 선지의 OX 판단을 할 경우, 선지가 맞을 때는 선지가 맞는 근거를 지문에서 찾아보고

선지가 틀렸을 때는 선지가 틀린 근거를 지문에서 찾아서 서로 연결한 뒤, 지문과 정답 선지의 내용을 비교, 대응해보는 것입니다.

지문-선지 연결법을 이용해서 어떻게 문제를 풀고 분석해야 하는지

지문-선지 연결법을 이용한 기출분석 샘플 파일을 첨부하겠습니다 ^^ 

새로운 샘플파일입니다 ㅋㅋ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