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부를 잡아라! 세특 A to Z] 혼돈의 입시, 중심을 잘 잡자!
현 고1, 고2의 학생부 작성 요령에 많은 변화가 생겼음을 앞선 칼럼들에서 살펴보았다. 교육부의 정시전형 확대 지침에 따라, 2022학년도부터는 수시 인원이 조금씩 감소될 예정이다. 게다가 교육부가 서울 소재 16개 주요 대학에 2023학년도까지 정시전형 비중을 40% 이상으로 늘릴 것을 권고하면서, 현 고1에게는 대입 준비가 더욱 혼란스럽게 되었다. 달라지는 입시 정책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대비책을 고민해보자.
정시 비중의 확대, 학종의 축소?
교육부가 2023학년도까지 정시 전형의 비중을 40% 이상으로 확대하도록 권고한 대학은 아래와 같다.
대입 수험생 대부분이 희망하는 서울의 주요 대학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이로 인해 단순히 정시 비중은 늘고, 수시 비중은 줄어든다는 생각에 수능 올인 전략을 펼치려는 학생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아주 위험한 생각이다.
1년에 단 한 번 치르는 수능이라는 시험에는 수험생의 실력 외에도 여러 가지 변수가 작용한다. 게다가 수능 역시 근본적으로 고교 교육 과정 내에서 출제되는 시험이기 때문에, 수능을 내신을 포함한 학교생활과 별개로 생각하는 것은 오히려 길을 돌아서 가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입학전형의 60%는 여전히 수시가 차지하고, 그중 대부분이 학생부종합전형에 해당한다. 추후 논술과 특기자 전형 등을 줄이고, ‘학생부 중심의 수시’와 ‘수능 중심의 정시’로 대입 제도를 간소화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학생부 관리와 수능 대비의 밸런스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기본적이고도 최선의 전략이 되었다. 이를 뒷받침이라도 하듯, 연세대는 2022학년도 대입시행계획에서 학생부종합전형 활동우수형과 국제형(국내고)에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학생부는 여전히 중요하다
또 하나 주목해야 할 것은 서울대의 2023학년도 입학전형 예고이다. 서울대는 지난 10월, 2023학년도 입학전형 예고에서 정시전형에 지역균형전형을 신설하고, 정시전형에서도 교과평가를 20점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교과평가에는 교과이수현황, 학업성적,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이 반영된다. 정시 40% 확대 방침 속에서, 상당히 이른 시기에 2023학년도 입학전형을 예고한 만큼 그 내용도 상당히 의미심장하다.
이와 같은 서울대의 입학전형을 두고, 혹자는 학종의 비율이 줄어드는 상황에서의 ‘꼼수’라고 지적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처럼 학교생활 충실도를 확인할 수 있는 교과평가가 추가된 것은 오히려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방안에 해당한다고 보는 시각도 많다. 사실상 교과평가에 의한 점수 차는 1~2점에 불과할 것이기 때문에, 정시에서는 여전히 수능 점수가 대부분의 당락을 결정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처럼 교과평가를 도입하겠다는 것은 수능에만 집중하고 학교생활에는 소홀한 학생들을 배제하겠다는 상징적 의지로 보인다. 이러한 서울대의 입학전형은 추후 다른 대학에게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농후하다. 단순히 입시를 수시, 정시로만 나누어 생각할 수 없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더불어 입시 제도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교과 학습 발달 상황’의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은 여전히 타격을 받지 않고 오히려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학생부의 기재 분량이 전체적으로 축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세특은 여전히 축소되지 않았다. 앞서 밝힌 바와 같이 서울대 또한 정시에서 교과평가에 세특을 반영하겠다고 발표하였다. 평소 각 교과목에 임하는 태도를 보여주는 ‘세특’을 특히나 철저하게 관리해야 하는 이유이다.
혼란스러운 입시제도 속에서 학생들이 기억해야 할 것은 딱 한 가지이다. 학교생활에 충실할 것. 내신과 수능, 수시와 정시를 분리하는 순간 오히려 합격의 문은 좁아진다. 입시전형을 각기 따로 생각하기보다는, 학교 수업에 충실히 임하면서 내신 공부와 수능 공부를 연계하고, 학생부를 통해 학교생활 충실도를 최대한 드러낼 수 있어야 한다. 특히 학생부는 하루아침에 완성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는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을 중심으로 학생부 관리의 질과 효율성을 높이는 전략이 필요하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예비 몇 정도 되나요? 부산 약 설 연세 고려 조발
-
부산대 언어쪽...? 완전 낮과 vs 교대...
-
올해 재수하고 미적에 가산3%주는 국숭인아라인이 목표인데 미적해서 가산 챙기는게...
-
고2 9모때 23232 생지였는데 지구랑 사탐1개 할지 사탐2개로 할지 고민됩니다...
-
몇년간 언문독햇는데 독서 시간촉박해서 마지막에 심장뛰어서 글읽는게 극복이 안되네요...
-
몇년간 언문독햇는데 독서 시간촉박해서 마지막에 심장뛰어서 글읽는게 극복이 안되네요...
-
죄송합니다 0
다시는 원딜을 무시하지 않겠습니다..
-
고2 때 수학을 안 했어서 겨울방학 때 빠르게 수2 한 번 돌렸고, 수1은 개념은...
-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성균관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성균관대학생,...
-
안녕하세요 '지구과학 최단기간 고정 1등급만들기' 저자 발로탱이입니다. 지난 1년간...
-
떨리네요 1
원래 무념무상였는데 이제 상향들 다 떨어지고 카드 하나만 남으니 떨리네요. 다군이...
-
ㅇㅂㄱ 8
좋아(좋은아침이라는 뜻)
-
2021년과 2022년 수능국어 난도 어땠나요??? 5
그때 수능 난도 어땠나요???
-
한솥 뭐먹지 4
-
얼부기 4
음 그래그래 형은 국밥 한 그릇 벌었어
-
마지막 스텝에서 엉덩이에 힘을 주는게 아니라 그냥 복압? 넣고 장에 힘주면 그냥...
-
ebs 25수능 국어 브리핑 보면 왜 문제들이 '저능'했는지 1
알수있음 ebs 현장교사단 한병훈 교사의 대답 또 문항의 선지는 과도한 추론 없이...
-
시험볼 일이 있어서 다음주 토요일인 15일에 폰을 꺼둘 거 같은데 추합전화 못받으면...
-
연그린이다 근데 영린이 더 야무져서 그냥 영린하기로함 영어실력이 5세어린이급이라 닉값도가능하다
-
최저 생지 2
최저로 일단 생지 준비하고 정 아니다 싶으면 6모 이후에 사문생윤 런 칠라하는데...
-
원래 등원시간 8시까지고 늦잠...자버려서 지금 일어났는데 전화같은것도 안와있고...
-
나만 오르비 통해서 들어갔는듯 ㅋㅋㅋ 나머지는 에타 통해서
-
미분 파트 연습하려고 설맞이 풀어봤는데 문제가 괜찮긴 하지만 솔직히 고트다 하길래...
-
[고려대학교 25학번 합격] 합격자를 위한 고려대 25 단톡방을 소개합니다. 0
고려대 25학번 합격자를 위한 고려대 클루x노크 오픈채팅방을 소개합니다. 24학번...
-
올해 1차 조발안했었는데 최종은 조발일수있나
-
근데말이야.. 이즈가 이렇게 어려운거면 제리는 얼마나 어려운거야 대체..
-
화작 미적 생윤 사문 입니다 군수생이라 일단 수학만 시발점 돌리고있어요 올해 6월...
-
씻어야 하는데 흠….
-
ㅅㅂ 0
수학
-
(아마도)서울대 조기발표 날이네요 항상 하루 전에 해왔으니까요 열심히 달려온 모든...
-
참고로 나는 공부를 막 스카이 가기위해 치열하게 한건 아님 고등학교 선행도 안했고...
-
죄송합니다 0
다시는.. 이즈리얼 유저를 무시하지 않겠습니다
-
얼버기 10
피곤해요...
-
조정호샘 커리 0
조졍호샘 여름전까지 혹시 계속 빈칸순서삽입만 계속수업에 다루시나요? 다른샘은...
-
ㅇㅂㄱ 1
죽겠다 밥 늦게먹기 + 커피 + 새르비 대환장 콜라보
-
브ㄹㄹ라 1
에이사
-
웬만한 일식집 부럽지 않은 조식이에요 :) 오늘은 후쿠오카로 넘어갑니당 오늘의 프사 1)
-
현역 사탐런 2
고2 9모가 23232 나왔습니다 생지이고요 언매 미적할 예정입니다 작년에 내신으로...
-
9시까지 도착해야하는데 택시는 기사가 길을 몰라서 나한테 물어보고, 한동네임...
-
안녕하세요 황성찬입니다. 오늘은 “논술은 어떤 학생이 준비하는 것이 좋을까?”를...
-
4일천하 가자
-
얼마나좋을까
-
경기도 사는데 미용실 이곳저곳 다 다녀봤지만 맘에 드는 데가 서울밖에 없어서 계속...
-
재수종합반을 비교해드립니다
-
[속보] 작년 경상흑자 990억달러, 3배로↑…12월 124억달러 역대 최대 1
[4일 오후 부산항 신감만부두와 감만부두, 신선대부두에 수출입 화물이 쌓여있다....
-
신원식, 美국가안보보좌관과 통화…한미관계·北문제 논의 1
신원식 국가안보실장이 5일 마이클 월츠 미국 국가안보보좌관과 통화를 가졌다. 트럼프...
-
왜인지 모르겠는데 2012학년도 수능 가나형의 일부 문제들 쉼표가 파란색으로...
-
전한길, 내란선동으로 고발당해…'尹 국민변호인단'도 가입(종합) 1
부산역광장서 "국민이 헌재 휩쓸 것"…논란되자 "국민 의지 폭풍처럼 전한단 뜻"...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