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잔디★ [305039] · MS 2009 · 쪽지

2011-03-02 19:33:38
조회수 6,925

화학2 루이스구조 이산화황 3산화황 황산이온에 대한 질문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games.orbi.kr/000926148

화학2 문제집을풀어보니 대부분 이산화황은 중간 s가 +1가를 띄고 산소 둘 이 총 -1가를 뜨는 공명구조로

삼산화황은 중간 S가 2+를 띄고 세 산소가 총 -2가를 띄는 공명구조로

황산이온은 중간 S가 2+에 네 산소가 총 -4를 띄는 구조로 그리던데

제가 중고등학교 때 올림피아드를 준비하며 배운바로는

황이 d오비탈 확장을 통해 옥테트 규칙을 꼭만족하지않아도 되는 조건덕에

so2 so3 는 모두 s와 o의 이중결합으로 이루어져있고 so4 2역시 중간 황이 0가 인걸로 배웠는데요 실제로 wikipedia에 검색해봐도 제가 생각하는 구조로

나와 있더군요;;


설령 위의 구조식처럼 s와 o가 + - 나눠지는상황의 되더라도 되려 산소의 비공유전자쌍이 황에게 다시 결합을 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고교과정내지 모의고사와내신에서 어떻게 생각하고 답을 골라야

마찰을 안빚을수 있을지 답변좀주세요;;

%%%%%%%%

그리고 제가 배운대로의 방식이면 이산화황의 S-O결합중 하나가 배위결합인건 어떻게 설명이되나요??

답변 바랍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eeeeee · 176090 · 11/03/04 09:59 · MS 2007

    실제의 전자밀도 분포는 정확히 그 중의 어떤 것과 같은 것이 아닌 다른 구조를 가지겠죠
    가장 안정한 구조와 실제의 전자밀도 분포가 가장 가깝겠으나 어떤게 가장 안정한지는 잘 모르겠네요
    저도 황산이온을 그릴 때 O 2개에 - 를 놓고 가운데 S를 0가로 놓긴 했습니다

  • cwbrian · 252092 · 11/03/07 08:49 · MS 2008

    옥텟규칙은 공유결합 화합물의 구조적 특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입된 이론입니다. 규칙에 맞도록 화합물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화합물의 특성에 맞도록 규칙(이론)을 수정하지요. d-오비탈확장이나 공명구조 개념도 기존의 옥텟규칙으로는 특정 화합물을 설명할 수 없어서 추후에 도입된 것입니다. 루이스점 구조식으로 어떤 화합물을 나타낼 때 다양한 구조를 그릴 수 있지만 실제의 화합물은 그중에서 가장 안정한 구조(1. 전하분리가 작고, 2. 전기음성도가 큰 원소에 음전하가 배치된)로 존재합니다. 실제 황산이온(2-)의 구조는 모든 산소 원자와 황 원자 사이의 평균 길이가 1.5결합으로 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