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묵적 전제와 입증책임-광다이오드 오류논란
안녕하세요. 독서 칼럼 쓰는 타르코프스키입니다.
광다이오드 문제를 기억하시나요?
"흡수층에 충분한 에너지를 가진 광자가 입사되면 전자(-)와 양공(+) 쌍이 생성될 수 있다."는 제시문의 문장과, "애벌랜치 광다이오드의 흡수층에서 전자-양공 쌍이 발생하려면 광자가 입사되어야 한다."라는 문장 사이의 관계에 대한 논란이었습니다.
저는 논리적으로 위 추론이 부적절한 점이 있고, 출제오류로 인정될 가능성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평가원은 이를 부정했고, 수험생으로서는 이러한 기준을 수용하고 판단기준을 잡는 수밖에 없습니다. 저는 출제기관이 때로는 상당히 자의적이거나 편향된 추론을 하고, 객관적 진리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는 주장에 상당히 동의합니다.
한편 이해황 선생님이 필요원인 추정이라는 개념을 도입해서, 이 문제는 출제오류가 아니라고 설명하신 글도 흥미롭게 보았습니다(https://orbi.kr/00031797465). 위 글의 논지에 전부 동의하기는 어렵지만, 수험생의 실용적인 기준이 필요하다는 지적은 타당합니다. 수험생으로서는, "광자 입사의 효과를 설명하는 문제에서, 굳이 광자가 입사되지 않더라도 글에서 언급하지 않은 다른 요인으로 전자-양공 쌍이 발생할 가능성을 근거로 문제를 내지는 않았겠지" 정도의 생각으로 답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일 것입니다.
사실 위 칼럼에서 언급된 추정이라는 개념은 법학에서 '입증책임'이라는 개념과 연관되어 매우 폭넓게 쓰이는 도구입니다. 무죄 추정의 원칙, 점유자의 선의 추정, 등기의 추정력, 친생추정 등을 예시로 들 수 있겠습니다. 일단 추정은 간주와 다르다는 점에 주의해야 합니다. 추정은 반증이 가능하고, 간주는 반증이 불가능하다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점유자의 선의 추정은 반대 증거를 통해서 번복될 수 있지만, 의제강간 제도에서 13세 미만의 사람을 간음한 자는 실제로는 합의된 성관계였다는 내용으로 반대 증거를 제출하더라도 의제강간이 번복되지 않습니다. 그게 바로 의제, 간주 제도의 취지이기 때문입니다.
결국 추정은 필연이 아니라는 점에서, 개연적인 상황에 불과한 것인데, 왜 굳이 법조인들인 추정이라는 관념을 만든 것일까요? 가령 아내가 혼인 중에 임신한 자녀는 남편의 자녀로 추정한다는 법 규정을 봅시다. 그 자녀는 남편의 자녀일 수도, 아닐 수도 있고 정확히 알 수 없다는 말과 논리적으로 동일해 보입니다. 하지만 남편의 자녀가 아닌 것으로 추정하지 않는 이유는, 결국 입증책임을 분배하기 위한 것이고, 위 두 문장의 문맥적 의미는 결코 같다고 볼 수 없습니다. 아마도 입법자는 사회통념과 세상의 관습을 고려하여, 웬만하면 남편의 자녀가 맞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이런 법을 만들었을 것입니다.
물론 구체적으로 어느정도의 반증이 제시되어야 추정이 번복되는지는 매우 까다로운 문제입니다. 제가 하고 싶은 말은 수험생으로서는 논리적 필연성과 개연성에도 민감해야 하지만, 출제의도를 고려해 적절한 추정과 반증의 감각을 함께 익혀야 한다는 것입니다. 출제자의 과거 패턴을 익히고, 배경지식, 상식과 통념을 통해 추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는 있습니다. 이 대목은 사실 문학에서의 소위 '허용가능성' 논쟁과도 유사한 측면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문학에서 일정한 범위 내의 감상을 합당한 것으로 인정해주는 것처럼, 비문학(독서)에서도 맥락상 허용 가능한 범위가 있고, 반대로 말하자면 무시 가능한 반박이 있습니다. 이러한 요구는, 결국 어떠한 전제는 굳이 말하지 않더라도 퉁쳐서 인정될 수 있다는 요구와도 동일합니다.
물론 사람이 독약을 충분히 먹으면 그는 죽는다 --> 그가 죽었다면, 독약을 충분히 먹었을 것이다
라고 일반화하는 것은 결코 합당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지문에서 독약, 화살, 자연사, 병사 등의 가능성을 아주 미미하게라도 언급했어야 위 지적이 실질적인 의미를 가질 수 있습니다. 지문에서 독약의 종류, 치사량, 역사 등에 대해서 중심적으로 논의했다면, 그리고 사망한 사람이 무언가를 먹었고, 특별히 외부의 사망요인에 관한 정황이 드러나지 않았다면 위와 같은 추론이 더 강한 설득력을 가지게 되는 것이 맞습니다.
LEET 문제에서 비슷한 논쟁을 본 적이 있는데, 간소화하자면 이런 것입니다.
"전쟁 중 자신의 신체를 해하여서 병역을 기피한 사람"은 "타인에게 피해를 준 것"이라고 말할 수 있는가?
"조직폭력배의 일원인 A가 B를 납치했다면, B는 생명이나 신체에 중대하고 임박한 위해의 위험에 빠졌다고 단언할 수 있을까?"
논리적으로만 보자면, 전쟁 중이라는 사정, A가 조폭의 일원이라는 사정은 정도의 차이를 보여줄 뿐 명제의 참 거짓의 판단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해야 할 것입니다. 위 추론이 타당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암묵적 전제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실제 LEET 문제에서는 조금 더 상식적인 추론에 입각해서 둘 모두 가능하다는 취지로 정오를 판단한 사례가 있습니다. 저는 두 문제 모두 예외적인 가능성을 지나치게 무시한 것이 아닌지 의문을 가지지만, 어쨌든 '애매하면 상식적인 추론을 택하자'는 법칙이 동일하게 적용된다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친생추정, 무죄추정이 마음에 안 들더라도 어쩔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출제자가 광다이오드 문제에서 예외적인 가능성을 놓쳤다는 지적에 동의합니다. 출제자가 의도적으로 함정을 팠을 수도 있겠지만, 그러한 문제의 득과 실을 고려하면 아마도 단순히 실수했거나 게을렀던 게 아닐까 싶습니다. 그러나 수험생은 그러한 문제에서 적절한 관용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문제에서 언급되지 않은 예외적 가능성을 너무 치밀하게 고민하는 것은 문제 풀이에서는 유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문제에 충분한 설명이 없는 영역은 아예 없는 것으로 취급하자는 판단기준을 일단 받아들이면, 찝찝함이 남더라도 정답을 고를 수 있을 것입니다. 그 과정을 어떤 면에서는 '필요원인 추정'이라고 부를 수 있겠으나, 개인적으로 평가원이 실제로 유사한 방식의 문제를 또 내지는 않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더 신뢰하고 의존할 수 있는 추론은, 무릇 출제자라면 이정도로 지엽적이고 지문 외적인 경우를 상정해서 정오판단을 하게끔 의도했을 리가 없다는 정도의 믿음이 아닐까 싶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안되겠죠…?
-
안녕하세요 25학번으로 의예과에 입학하게된 재수생입니다 기하는 5개월 동안...
-
예년 겨울에는 눈이 별로 안 내렸던 것 같기도 하고 흰 눈이 소복하게 쌓인 광경을...
-
꿀잠 잤다네요
-
3최초합 간다ㅋㅋ
-
언제였나요?
-
감히 내 최초합 삼신기를 막아? 어디있는 대학인지도 모르겠지만 그딴거 취급 안해요 -,-
-
예비고2구요 고1 모고 항상 2 나왔어요 국어 원래 계획했던건 마더텅 고2 문학...
-
고대 정시? 3
고대에 정시 성적만 100프로로 보는 전형있나요??
-
확고하게 선택을 못하겠네 교재는 다 사놓고 ㅅㅂ
-
안녕하세요 계속해서 칼럼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이런 글이 반드시 필요할 듯하여...
-
슬슬 심장떨린다 0
40분? 남았네 서울땅만 밟게해다오..
-
하시는일 다 잘되실겁니다
-
과기대 신소재 0
추합 몇번까지 돌까요… 100%는 돌겠죠?? 24 160% 23 138% 인데...
-
역시 최상위권 커뮤니티의 위력.. 뻘글쓰던 고닉들이 설연뱃 쓸어가는중
-
벡터부터 찍먹해보고 아니다싶음 버릴까요??
-
에헷 눈이다 눈 1
눈 눈 눈이 내렸어요~ 눈이 눈 눈 에헷 눈 눈이에요 눈이다 눈 눈~
-
반갑습니다 노뱃이 더 희귀한 세상입니다
-
공장이 아닌 중견기업정도 대학 졸업하면 30대초반일텐데 경력도 없는데 취업되려나
-
아주대 발표 0
오후 2시네요
-
에휴 0
에휴..
-
설뱃달앗당 4
-
뱃지 왔다 13
일한다 오르비!
-
커담 3
-
일단 나는 3
학교뱃지를 딸 깡은 없어
-
설 뱃 등 장 14
이제 에피만 달면 완성
-
설연의뱃 ㄷㄷ
-
오르비특 5
씹덕프사달고이상한얘기하던사람들 갑자기 sky뱃메디컬뱃달고옴 배아파
-
육군아미타이거 0
육군육군육군
-
그 분들이 붙어줘야 되는데
-
전 04부터 틀ㄸㅏㄱ..
-
과외알바를 생각하시는 분들을 위한 매뉴얼&팁입니다. 미리 하나 장만해두세요~~...
-
생윤 임정환 림잇이랑 임팩드 듣고 현돌 하려고 하는데 생지하다 사탐런해서 완전...
-
소신발언 0
설경은 경영이 아니라 경제가 맞다고 생각해요... 반박시 님말이 맞음
-
돈도 벌고싶고 수능 봐서 메디컬 가고싶고 어려운 나날
-
(발로 풀어도 나올 수능점수를 받고 수시로 약대를 가며) 에라이 퉤퉤
-
궁금합니다... 만약 붙으면 통학 불가능한 거리라 기숙사 가야되거든요... 혹시...
-
드디어 졸업식! 2
N수 괴물이되어버렷
-
동국대 중문: 가면 복전 or 전과 노릴 듯 낭만픽으로 영화영상을 가거나 아니면...
-
1. 문장을 정확히 읽고 그 문장에 쓰일 전략을 도출한다 2. 그 전략을 바탕으로...
-
당분간안들어올듯 4
-
흠흠흠 영어공부 하기싫어서 3달째 안하고있는데 단어라도 좀 외워봐야하나 ㅋㅋㅋㅋ
-
나다 d-279 다시태어난다
-
나 또 눈사람됐어
-
뱃지존버중 4
나도설뱃.
-
가기만하면 되나요? 따로 신청할건 없나요?
-
수학 중3때 놓았고 이번 수능 26122 이번에 기숙 들어가는데 가면 인강도 맘대로...
-
유명컨설팅훅이 0
70 넘게 주고 유명 컨설팅에서 받았는데.. 돈 아깝네요 나군에 펑크 노리고 쓸만한...
-
구웨엑
매우 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