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내놔.열십히햇자나
-
★ 2026 대성 19패스로 같이 공부해요!! phil0413 0
추천 아이디 phil0413 메가커피 1만원권 같이 받고 2026 수능을 향해...
-
웨 투자시간이 증가할수록 성적이 내려가는거야 ㅅ..
-
알찬하루였다
-
궁금합니다!!
-
이명학 실모같은 거 더 풀고 싶어서
-
왜 다들 의대가려고 하는거임?
-
공부 동기부여 잘 돼서 좋아요
-
보통 사설이 더 점수가 낮은가요?
-
수액맞을까여 0
영양수액같은거 좋나여 저번주부터 컨디션 떨어지더니 오늘은 ㄹㅇ 앉아있기만 하면...
-
다담800제에는 관형사가 수사 앞에 못 온다고 하는데 나무위키에는 수사도 수식한다고...
-
대충 이정도로 나오면 좋겠다 생각하고 적어봤는데 동국대 기공 50~60퍼 정도...
-
나도 인생 하드코어로 살아보게 의대좀 보내줘라
-
난 다 필요없고 수의대만 보내줘
-
본인 군인 시절 2
대다장 중대장 주임원사.앞에서 바지 벗은적 있음ㄹㅇ
-
올해ebs작품 중 관동별곡 보다 긴 고전시가 있나요? 5
있다면 적어주세요ㅜㅜ
-
다들 공부계획 어떻게 짜시나요?
-
내년에 포켓몬AZ가 나온다고 메가진화 봐야된다고!!
-
빨리 끝났으면 좋겠다 싶다가도 한 2~3주만 더 있었으면 하고 아쉬움...
-
제발 1등급 받자
-
기쁜 날입니다 0
V12 하 하 하 하 하 하 하 하 하 하 하 하
-
메가는 결제 안할거같음.. 너무 쓸데없이 비쌈 대성 하나로 뽕뽑기 ㅆㄱㄴ할거 같은데
-
저점이 너무낮네 8
이렇게되면 진짜 복블복이다 수능때 한번만 고점쏘자 ㅈㅂ
-
예전에 오르비에 누가 최근 3개년 언매만 뽑아서 파일올려주셨던거 같은데 ,, 누구신지 아는분
-
2024학년도 가을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정기 캠퍼스 투어 및 청소년 만남의 날 0
[2024학년도 가을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정기 캠퍼스 투어 및 청소년 만남의 날]...
-
공부 잘 못하는데 뭐 얘기하면 형 공부도 못하는데 그런 것도 알아? 뭐 대충 이런...
-
대 승 리
-
이번 회차도 22 28이 좀 별로인듯 그래도 28은 잘 알아두고 넘어가야 할듯
-
호애애애
-
지금이라도 당장 준비해도 되지 않나? 의대 가신 비상한 머리면 솔직히 고시라 붙는...
-
D-16 ㄱㄴ? 2
ㅈㄴ많이남은듯ㅋㅋ (손목을 벅벅긁으며)
-
[속보] KIA, 짜릿한 뒤집기로 7년 만에 한국시리즈 우승…‘V12’ 금자탑 2
‘호랑이 군단 ’KIA 타이거즈가 7년 만에 한국시리즈 정상을 차지했다. 정규리그...
-
3개월 무이자
-
안녕 14
-
ㄹㅇ
-
길가다 보이는 애들도 귀여우면 마음이 가는데, 어떻게 자기가 먹이고 재우면서 키우던...
-
치대질문받음 9
수능관련은 까먹어서 X
-
답 왜 5번이라 돼있지 ㄱ아니지 않나요
-
?
-
국어 3년 유기 0
난 진짜 국어 모고치는거빼곤 해본적이 없어서 화작했고 고당내내 만년 3따리로 살다가...
-
생윤은 학교 수업 듣고 기출 한번 돌렸고, 사문은 개념 강의 듣고 교육청 모고 3회...
-
백수도 힘듬 0
ㅠㅡㅠ
-
벌써 번장에서 이슈만 3번째다 실모 7회분 구매했는데 돈 다보냈는데 갑자기 오늘...
-
김과외 너무안잡혀 애들 시범과외하고말음 지인업음 오르비과외를해야되는거임설마??더안구해질거같은데
-
있잖아, 지금 2026 히어로즈오브더스톰 플레이하고, 내 ID를 입력하면 너도,...
-
내 친구가 예체능계열인데 내신 실패하고 정시로 넘어옴 실기80 정시성적 20들어감...
-
지1 고지자기 문제에서 경도 일직선 아니면 어떻게 풀나요...?. 6
기출보면 맨날 현재지괴와 고지자기극이 같은 경도선에 있어서 빠르게 과거의 지과 위치...
-
언매 휘발 된 거 좀 잡게
좋아하는 노래?
던말릭 - 전염
컴공과에서 코딩의 비중이 어느정도 되나요??
60% 정도.
1. 취업으로의 허들 : 결국 코딩테스트를 보니까, 어쩔 수 없이 기교와 기본은 필요하다.
2. 이론의 구현 : 제 아무리 고급진 CS 이론을 안다고 해도, 직접적인 구현을 통해 이론을 증명할 필요가 있다. 컴퓨터공학 또한 ‘과학’이다. 논증이 되지 않으면 추측일 뿐이다. 적어도 이론을 받아들이는 사람에게 있어서는.
3. 변화 : 코딩을 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개인에 따라 다르겠지만, 거시적으로 얘기해 볼 수 있다면 결국 인간의 삶, 더 나아가 세계 전체의 흐름을 더 나은 방향으로 보내기 위함이다.
그 실현을 위해서는 당연히, 실질적인 성과가 필요하고, 이 성과의 단위가 ‘코딩’임은 분명하다. 소프트웨어는, 결국 코딩이라는 절차 없이 성립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코딩이 절대적이지 않은 이유
1. 어쩔 수 없이 수단에 불과하다
앞에서도 말했듯이 코딩은 말 그대로, 이론을 구체화하는 ‘수단’이다. 이 ‘수단’을 어떻게 이용하고, 또 이것에 어떤 의미를 불어넣을 것인지는 개발자의 철학이나 가치관에 달려있다. 말하자면, 제아무리 코딩 센스가 좋고, 모든 구현에 능숙하다고 해도 철학이나 가치관이 부재하다면 그는 힘을 가질 수는 없다.
2. 코딩은 결국 논리적 글쓰기로 치환된다
사실 코딩이라는 한 프로세스를 분석하면, ‘논리적 글쓰기’와 굉장히 유사하다. 어떤 연산이나 계산을 순서대로, 또 이해하기 쉽도록 나열하는 일련의 과정이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이 능력을 지속적으로 쌓을 수 있다면 지금 당장의 코딩 실력이 떨어지더라도 걱정할 것이 없다는 말이다. ‘나열’하고 ‘배치’하는 것에 익숙해지다 보면, 또 가급적 그것이 ‘글’이라는 매개로 연습될 수 있다면 코딩에 자신감이 붙을 수밖에 없다. 이런 측면에서, 개인적으로 개발자에게 높은 수준의 인문학적 소양이 있어야 한다고도 본다.
개발은 국어다
일정 수준 동의하는 말입니다.
개발자가 책을 많이 읽어야 하는 이유
소통과 개발을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