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라우메 [1293263] · MS 2024 (수정됨) · 쪽지

2024-06-06 01:15:21
조회수 1,688

재미로 6모 논리학 논문 찾아봤음 + EBS 오피셜 해설

게시글 주소: https://games.orbi.kr/00068306701

강사마다 15번 문제 해설이 어떻게 프레이밍 되는지 재밌어질지도.


특히 (나)는 프레게-기치 문제라고 불리며, 논문에서 에이어의 정의주의에 대한 네 번째 비판으로 소개됨


+행크스 논변은 다른 논문에 있음


진리 적합성이 없는 도덕 문장을 외치는 에이어는 이 문제에 대한 답변을 내놓기 어렵다


정의주의가 봉착하게 되는 딜레마 


이에 대해 EBS 공식 해설은


(블라블라) ~비판이 될 수 있다


일단 1번 선지가 단정해서 적절하지 않다고 보는 나와 의견을 같이함


이에 대한 또 다른 논변으로는 ,의 앞부분이 틀렸다고 보는 시각이 있던데



"(직관적으로) 타당해 보인다"와 "타당하다"는 다른 거임


YES-BUT 화법으로서 타당해 보이는 것도 인정하는거임, 이에 대한 방증으로 행크스 또한 이 범주를 구별하고 있음


~뿐 아니라 ~하다

출제자 끌고 와서 공식 답변 듣고 싶을 정도임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Ukykku · 1084543 · 06/07 04:40 · MS 2021 (수정됨)

    크게 두가지 근거를 생각해봤는데 전 시험장에선 2번째처럼 생각해서 답 냈습니다.
    너무 헷갈려서 적어봐요ㅜㅜ

    나) 글쓴이의 문제의식은 도덕문장이 들어간 전건긍정식이 타당해 보이는데 타당하지 않다고 해야하는 것이니 이것이 ㄱ이 에이어의 윤리학 견해에 대한 비판이 되는 것(지문 첫문장 글쓴이의 입장)이라고 보고 '에이어의 윤리학 견해가 옳다면 전건 긍정식이 직관적으로 타당해 보이지만 논리적으로 타당하지 않게 된다는 점에서 ㄱ이 에이어에 대한 비판이 된다' 라고 해야해서 1번이 틀린 것인지

    아니면 에이어의 견해가 옳다면 -> 도덕문장은 참거짓 판단할 수 없으므로 전제가 참임을 알 수 없기에 ㄱ에서 나온 전제와 결론 사이의 관계에 대한 문제제기는 비판이 될 수 없다고 해야하는 것인지 헷갈리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