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 10번 이의제기 결과
게시글 주소: https://games.orbi.kr/0006166154
![](https://s3.orbi.kr/data/file/united/1850096102_hzd9JvH0_Screenshot_2015-06-25-09-23-09.png)
10번 이의제기를 제가 하진 않았으나 문제가 심각하다고 생각해서 글을 올려봅니다.
교과서어디에도 나타나지 않는
"일반적 국가"라는 용어를 남발하면서 2014 수능 예비시행부터 자꾸 성립불가능한 문제를 내는데 정말 답답하지 않을 수 없네요.
근거도 없고 그냥 일반적 국가는 이렇다는 식의 접근이라면 사회문화 과목에서 추구되어야 할 합리적 문제풀이 방법이 적용가능한것인지부터 다시 생각하게 하네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건 준 실명제..
-
예비고2 학생이고 2025뉴런 수1 2 한 번 봐서 2026미적 뉴런하면서 수1 2...
-
님 ㅠ 2
메시지 창에 빨간 숫자가 뜰 때마다 누르기가 무섭다... 다들 이렇게 오는 건가오
-
대전 라이브반이라 대기도 없어서 시즌2 전까진 이훈식 개념 테크트리랑 기출 테크트리...
-
?는 닥전으로 간주하겠다맨이야
-
행복하게 다시 살아가길...
-
아니 가채점 결과 평균은 나왔다고 ㅅㅂ Omr 개같이썼나 엄마한테 해명을 어떻게해야
-
님들 선택은
-
진학사 허수 1
진학사 점공 허수 표본이죠? 382.3 서울대 합격 가능한가요?
-
느낌이다르네ㅋㅋㅋㅋ 긍미햄당신이옳았습니다...
-
이만한 억제기가 없네요
-
과외 ㅈㄴ 적극적인 것 같은 문의와도 갑자기 잠수탐 ㄹㅇ 아줌마들은 알 수가 없노 ..
-
이상하게 셀카가 잘 나오는거 같은 장소들이 있음 진짜임뇨
-
으헤헤 5
취릅비 히히
-
학생들의 재미를 위한 문항뿐인거 같지 완성도는 이훈식께 높은거 같은데 수능끝나면도움이안됨
-
설의 (아님) 1
어제부터 설의법 볼 때마다 자꾸 서울대의대가 생각나요.. 이거 중증인가요¿
-
전적대 에타 구경중
-
탐구 선택 0
작수 물화였는데 표점보고 현타와서 지구과학 새로 시작하려하는데 지구과학을 새로...
-
진짜모름
-
전남수 예비 몇까지 돌까요?
-
혹시 생1 높1이신분 14
기출제대로파나요? 작년에 하다 던졋는데
-
에타 노잼이네 0
다들 시간표 짜는 중임 근데 차피 ot 때 다 알려주지 않을까?
-
하 진짜 2
-
과기대 지능형반도체공학과는 첨단패키징,소자와 회로설계를 아우르는 학과이며 그 중...
-
22학년도 모집 인원 9명 추합 46명 23학년도 모집 인원 7명 추합 40명...
-
둘 중에 어디가는게 맞을까요?? 전남대 의대등록금270이고 보니까 본과도...
-
건국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건국대 25][맛집탐방]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건국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건국대학생들을 돕기...
-
로스쿨 입시에 경험이 있으신 분들께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곧 서울대 경제학과에...
-
부우우ㅜ우웅 5
끼이ㅣ익
-
3승이다 캬캬갸
-
설경영이 빵 더 크게 날줄 알았는데 문과 선호도는 경영>경제인건가 이과 교차가...
-
차현우 남치열 0
수능개념 미적분 들을건데 어떤분꺼 듣는게 더 좋을까요? 노베기준!
-
시우 들어왔다고 바로 형인척하네 ㅋㅋㅋ 형맞음
-
오르비 레어는 3
소유의 개념이 아닌건가요? 막 뺏을 수 있나요?
-
에타 진짜 개판이네 11
-
2년간 하루 10시간씩 할땐 국숭세단 자연계 나오던데 대학 다니면서 8월부터 하루...
-
옯스타 5
@orbis.optimuseal 맞팔언제나환영합니다
-
친구(건대 문과)가 갑자기 요즘은 중시경건 아님? ㅇㅈㄹ해서 빡쳤는데 참았음 어이가...
-
부럽네요
-
혹시 서강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계약학과) 기숙사 우선배정 있나요? 제가 정시...
-
궁금한 거 생김 0
대학이나 취업 아니고 그냥 무작정 서울 올라가는 사람들이 많나요?
-
지금 비싸게 거래되는 레어들 다 그냥 재등록하면 안사도 쓸 수 있는거 아닌가요 모든...
-
오뿌이 여러분 날도 추운데 조심히 들어가세요!!
-
지져버리고싶네
-
1시간동안 아무생각없이 계속 딸깍딸깍함
-
안녕하세요 '지구과학 최단기간 고정 1등급만들기' 저자 발로탱이입니다. 지난 1년간...
-
쓰으으으읍.... 인생은 한방
-
과탐 딱알았다 5
국영수를 좆나쉽게풀어서 뇌를 덜쓰고 풀면 잘풀듯 ㅇㅇ +콘서타도핑
-
실제로 본 건 처음인데 엄청 웅장하더라고요
-
먹고 싶은거 먹고 살 안찌는 재능충들이 부럽네
갑국과 을국이 일반적 국가라는 사실이 이상한 것이 아닙니다. 일반적 국가에서는 소득이 연속적으로 분포한다던가 가구의 수가 일정한 수준으로 나타난다는 가정 자체가 말이 안되는 것입니다.
과탐이 아닌 사탐이기에 나타나는 한계인가요.... 예전 사회문화 자료분석은 계산이 지저분하긴 해도 분석 결과에 이의를 제기할 수는 없었는데 요즘은 문제 외적인 모호성까지 끌고들어와야하는 상황이 돼버렸군요. 가뜩이나 국수영은 물수능에 사탐은 말장난 천국이 돼버려서 문과생들 고생이 많겠어요 ㅠㅠ
저도 납득이 안가긴 하네요. 님이 말한 전제 자체가 교과서에 있는 문장이라면 그건 두말할 필요 없이 평가원이 맞겠지만 저런 문장이 사문 교과서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다면 일반적인 국가가 뭔지 알게 뭐랍니까....
그게 없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그래서 평가원이 일반적인 국가에 대한 교과서 인용을 하지 "못"하는거죠. 제가 모의고사를 출제하면서도 교과서를 엄밀히 검토하는데, 교과서에선 일단 "일반적인"에 대한 규정을 하지 않습니다.
그렇네요, 교과서에 있는 문장이라면 그거 하나 복붙하면 바로 끝인데말이죠. 과연 무엇때문에 그런 특성이 나타난다고 단정지어버렸을까요? 저 '일정 규모' 라든지 '일반적인' 이런 모호한 말 저도 굉장히 싫어하는데 님 의견에 공감합니다. 세계지리 홍역 사태를 겪고도 아직 정신을 못차린건지.
기출중에 ( 작년 이지영 개념책 문제에서 본것같아요)
빈곤문제 였는데
절대적빈곤선이 소득2000만이고
상대적빈곤선이 소득3000만일때 (예시)
선지중에 절대적빈곤가구수= 상대적빈곤가구수 이런게 있었는데
이 선지가 틀리고 다른게 맞았거든요
소득 2000~3000 사이의 가구가 존재하지 않을때라는 반례가 존재하는데
그때 수업에서 사회에서는 이러한 분포가 현실적으로 나타날 수 없으므로 틀리다고 설명하셨는데
반례가 존재한다는점에서 비슷한 맥락인가요?
비슷한 맥락인데 200만과 200만 5천이면요? 그 격차는 마음껏 조절가능하죠 사실상ㅎㅎ 그래서 반례가 존재한다면 무조건 선지가 틀리게 되어야 되는데 이게 문제가 된 선지가 2015학년도 15번? ㄹ에 이게 연결문인데 전건이 문제가 된 부분이고 후건이 틀린 선지라 이의제기는 적었구요, EBS가보시면 해설지와 박봄선생님 해설강의가 서로 완전히 다르게 해설하고 있습니다.
이전부터 기출로 많이 나온 소재고, 계속 저 입장을 유지했던것 같습니다
저 입장을 유지하진 않았습니다. 작년 9월 이의제기에서 저 내용에 대한 직접적 언급을 피해서요
예비시행 문제에서부터 평가원은 <율이 같으면 선도 같다>는 전제 아래 출제해 왔습니다.
그런 전제가 어디에 있는지 설명해주시면 인정하겠습니다. 그런 것을 언제부터 전제라고 했죠?
빈곤 개념이 사회문화 교과서에 들어온 이후 첫 평가원 출제 시험이 예비시행 문제였지요? 거기에서 이미 <율이 같으면 선도 같다>는 전제 아래 빈곤 문제가 출제되었기에 드린 말씀입니다. 그렇게 출제되었는지 아닌지는 풀어보시면 아실 일이구요.
예전에도 관련 문항 이의제기 있지 않았나요?
심지어 듄하고 평가원하고 입장차이까지 있었던걸로 아는데...
그냥 입장을 깔쌈하리 밝혀주면 좋을텐데 항상 저렇게 모호하게 유지하네요
2015학년도 9월모의고사 15번이 평가원과 EBS해설지가 다릅니다
잘 몰라서 그러는데, 그냥 평가원에서 문제출제할때 단, 조건을 추가하면 되지 않나요?
불연속적인경우는 없다 뭐 이런식으로라도 추가하면 되지 않나 싶은데..
그런데 안하는거죠 뭐.. ㅇ.ㅇ
zzzz 그렇군요 어떤 특별한 이유가 있는줄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