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역사 잡지식
오늘은 역사라기보다는 인물 이야기
천관우라는 분이 있습니다.
1925년에 태어나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언론계에 종사한 인물이죠.
뜬금없이 이분 이야기를 꺼내는 이유는 이분이 한국사계의 먼치킨이기 때문입니다. 언론계 인물이면서도 말이죠.
굵직한 사례 몇 개만 살펴보겠습니다.
서울대 졸업 당시 '반계 유형원'을 주제로 한 '반계유형원연구'라는 학사졸업논문을 발표하였습니다.
그리고 이 논문은 대한민국 실학 연구의 시초로 꼽히는 논문입니다.
학계의 한 흐름을 학사졸업논문에서 만들었다는 거죠.
이후 오랫동안 언론계 생활을 이어가다 군사 정권의 탄압을 받으며 다시 역사학계로 돌아왔는데,
이 때 고조선사와 삼한사 등을 연구하며 '군장국가-연맹국가-고대국가'로 이어지는 틀을 마련하는 한편
가야사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당시 학계의 난제였던 임나일본부설을 타파하기도 했습니다.
쉽게 말해 역사 연구를 주업으로 삼지 않으면서도 식민사관 깨부수고 학계 흐름 만들어내고 한 것입니다.
오죽하면 서울대 사학과의 거두인 이병도 선생께서 숱한 제자들을 양성하면서도 천관우 선생을 보고 '군계일학'이라고 했다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어제 수시 끝나서 다시 참전합니다 대충 올해 수능 풀어보니 생윤 사문 두개로...
-
김지혁 지구과학 개념 아이템 2025 최신버전 새책입니다. 본교재+개념정리노트 정가...
-
허수 특: (뭐 하는 강의인지도 모르고) 뉴런 봄 ㅋㅋ 4
N수생이 아니라, 현역이 수능을 처음 준비할 때 뉴런이나 빌드업 같은 강의를 듣는...
-
예비고3 논술준비러인데 수1 내신 4등급 맞았고 모고 4등급 맞았습니다...물론...
-
(자사고 2~3등급, 모고는 항상 1컷)예비고3 수1수2미적 문제집 추천좀요 0
예비고3이며, 자사고 수학 2~3등급, 모고는 항상 컷으로 1이었습니다. 수2와...
-
안녕하세요 현재 예비고1학생입니다. 최근, 제 수학을 받아드리는 태도에 대해 갈피를...
-
f(x)g(x)≤0 이면 f(x)≤0,g(x)≥0 또는 f(x)≥0,g(x)≤0이다 이해가 안갑니다 2
ab0 또는 a>0,b<0 이런경우는 둘의 부호가 달라야하니까 이해가쉬운데......
-
시발점 수학상 수강 중인데 를 안다루고 넘어가던데 왜 교재에 포함이...
-
수학 상 하고있는데요 찾아본 문제집이 개념쎈라이트,정석,개념원리, 쎈, 일등급수학...
-
예전에 오지훈쌤듣다가 이번에 대성사서 개념 김지혁쌤 들을려는데 개념이...
-
도움 많이 되나요? 현재 4등급인데 생1 지1 개념서 정독하는데 시간대비 효율이...
-
현재 4등급 정도 나오는데 개념서를 정독하는게 나을까요 아니면 실모or기출을 풀면서...
-
나형 수학 개념 0
안녕하세요. 오르비에 처음으로 글을 써봅니다. 나형 21번, 30번 빼고 1등급이...
-
지과대장님들 8
지과개념 그냥 수특만보는거랑 강의듣는거랑 천지차이?
-
지금 기벡개념서 필요한데 수특 괜찮나요?? 아니면 개념원리 제외하고 추천좀 해주세요...
-
#국어 제.개.밟_제대로개념밟기 혹은 제발개념좀밟고가 2
공들여 낳은 자식같은 문서이니 널리 수험생을 이롭게 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수험생...
-
그냥 심심해서.. 혹시 오류 있으면 댓글 남겨주세요..
-
막상 재수해서 거진 2개월3개월만에 책폈는대 개념이기억나는것도있고 안나는것도...
-
지2 개념강의 0
예비고3인데 수능용으로 지2를 하려고 합니다. 그래서 개념강의를 들을려고 하는데...
-
재종반가기전에.. 10
재종반가기전에 수학개념한번 훑을려고하는데 수1,2미적1,2 확통 기벡 6개다...
-
정원재 물리1 수식없는 물리 기본개념 강화연 물리1 39개 핵심유형 개념 인강 추천해주세요
-
수학 어중간한 1등급 독재생입니다 작년에 신승범 풀 커리와 한석원 쌤 알텍/실전...
-
기초가 전혀없는 성인 독재생입니다 올해 준비해서 시험보고자 합니다 정석개념 유제...
-
12수능 만점자, 수학교육학과 재학중인 학원쌤이 과외합니다. 0
1. 과목: 수학 2. 지역: 서울 3. 학교&전공: 홍익대 컴퓨터공학, 수학교육학...
천관우 박사 외에도 노태돈 교수 같은경우에도 학부시절 쓴 논문이 교지에 실린...
노태돈 교수님 고구려사 연구 내용 보면 확실히 다르다는 게 느껴지긴 해요
그나저나 확실히 서울대라 그런지 사학계에도 걸출한 인재가 많은 듯하네요
예비고사 수석 출신의 송기호 교수님도 계시고, 이병도 선생이나 이기백 선생은 말할 것도 없고...
지도교수님이 송호정 교수님... ㅋㅋ
한국사개론 듣는데 절반 이상을 고대사로 나가셨죠...
캬 연맹국가 와같은 체계구조를 만드신분이라니
사실 저 분야에서는 천관우 선생의 공도 있지만 윗댓에 언급한 이기백 선생의 공로도 커요. 이기백 선생도 한국사학사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우리나라 대학에서 가르치는 커리큘럼을 보면 공학측면은 서양쪽이 큰데 사학분야는 뭔가 체계라던지 이런걸 독자적으로 쓰려고 노력하는것같아요. 그게 좋은건지는 독바님같은 우리세대의 숙제겠죠
좋다 나쁘다의 가치판단의 영역이라기보다는, 과거의 사실에 다가가기 위한 다양한 방법론을 갖춰가고 있는 거라 생각하는 게 맞을 것 같습니다. 한국사를 연구하는 데 서양의 연구 방법을 썼을 때의 이점과 독자적인 연구 방법을 썼을 때의 이점이 모두 있을 거니까요.
별개로 탈서구주의적인 역사 연구는 21세기 역사학의 트렌드이기도 해요. 이건 미국이나 유럽의 연구자들도 비슷하게 생각하고 있구요.
역사학자이자, 언론인 출신으로 잘 알고있지요 :)
우리나라 역사학계에서 이기백,노태돈과 견주는 위치에 계시던분이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