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독해 "발췌독 VS 전부 다읽기" 관련 정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9065516
안녕하세요 언어학,영어학 공부하고 가르치는 뭐코치입니다.
오르비 오랜만에 왔다가 해당 관련된 글이 있어서 답변하던 중에
(해당 글 링크 : https://orbi.kr/00039064845#c_39065055)
조금 더 깊게 쓰려고 글 남깁니다. 아래 내용은 이해하기 쉽게 쓴거라 약간의 왜곡이나 비약이 있을 수 있습니다.
1. 독해 모델은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일단 2가지를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ㄱ] 상향식 읽기 모형 (Bottom-up Processing Model)
[ㄴ] 하향식 읽기 모형 (Top-down)
1-1. [ㄴ]의 하향식은 아주 쉽게 설명하자면, 특정 기준을 임의적으로 설정하고, 이 내용에 맞는지 안맞는지 확인하면서 읽는 겁니다. 그림으로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주제,제목,요지,목적,주장 지문과 같은 경우 첫문장만 읽고도 답이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애초에 기준점을 형성한 지점에서 해당 내용의 주제나 요지같은게 함축되어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이런 경우 보통 앞문장과 맨 뒷문장만 읽고도 답이 나온다고 하지요.
하향식 모델에서 가장 중요시 여기는건 "배경상식" 이라고 합니다. 배경상식이라고 막 거창한 지식을 요구하는게 아니고, 독해할때 어떤 기준점을 형성하기 위한 최소한의 도구 역할로만 필요하다고 생각하시면 좋습니다.
가령 아래 지문을 봅시다. (2017년-06월-고3-35번-무관한문장)
───────────────────
Since the concept of a teddy bear is very obviously not a genetically inherited trait, we can be confident that we are looking at a cultural trait. However, it is a cultural trait that seems to be under the guidance of another, genuinely biological trait: the cues that attract us to babies (high foreheads and small faces).
해설지 해석 : 봉제 장난감 곰이라는 개념은 유전학적으로 물려받은 특성이 아닌 것이 아주 명백하므로 우리는 문화적 특성을 보고 있는 것이라고 자신할 수 있다 하지만 그것은 른 정말로 생물학적인 특성 즉 우리를 아기 높은 이마와 작은 얼굴 에게 이끄는 신호에 의해 유도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문화적 특성이다
───────────────────
이 두 문장은 해당 지문의 첫문장과 두번째 문장인데, 여기서 사실 기준점을 잡는게 "하향식 독해"의 가장 키포인트입니다.
위 두 문장은 선천과 후천에 관한 배경상식을 살짝 섞어서 간단화 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Since the concept of a teddy bear is very obviously not a genetically inherited trait, we can be confident that we are looking at a cultural trait.
테디베어 = 후천적
However, it is a cultural trait that seems to be under the guidance of another, genuinely biological trait: the cues that attract us to babies (high foreheads and small faces).
테디베어 = 후천적이지만 + 선천적인 요소도 있음
───────────────────
그러면 해당 지문은 선천+후천 개념을 도입해서 각 문장의 내용이 이런 선천성과 관련된 내용인지 체크하면서 속독을 할 수 있게 됩니다. 앞부분을 강하게 읽고, 뒷부분을 약하게 읽을 수 있는 강약조절이 되는 것이지요
그래서 하향식 모델은 일반적으로는 아래의 과정을 겪는다고 보시면 좋습니다
1-2. 상향식 모델은 이와 정 반대입니다. 아래와 같이 내용을 하나하나 결합해서 기준을 세우는 것이 상향식입니다.
일반적으로 "실험지문"이 위와 같습니다. 실험지문은 실험의 내용을 하나하나 이해하면서 점점 내용을 쌓아나가야 하기때문에, 초기에는 기준을 잡기 힘들고, 내용을 읽어가면서 마지막에 기준을 잡게 됩니다.
2. 아까 3가지가 있다고 했는데, 마지막 모델은 아래와 같습니다
[3] 상호작용 과정 모델 (Interactive Processing)
이 모델은 상향식+하향식을 섞은 방식입니다. 일반적으로는 우리가 이 모델을 문제를 풀때 이용합니다. 그냥 쭉 읽고 이해하고 넘어가는게 아니고, "답을 골라야 하기 때문에" 그렇죠
가령, "중간에 빈칸이 뚫린, 중간빈칸추론" 유형을 한번 생각해봅시다.
일반적으로는 중간 빈칸추론의 경우, 해당 답을 고르기 위한 단서가 "빈칸 아래"에 포진되어 있는 경우가 매우 많기 때문에, 보통 문제를 풀때는 아래와 같이 상향식과 하향식을 같이 섞어서 풀게 됩니다
그리고 보통 문제를 1회독 통독하고 다시 돌아가서 발췌독 (전략적 2회독) 하는 학생들도 이 통합모델을 이용합니다. 일반적으로 독해의 모습은 아래와 같이 나타납니다
3. 그래서 결론은 아래와 같습니다
<전부 다읽기 vs 발췌독> 은 상향식과 하향식의 비율 문제이지, 뭐가 옳냐 그르냐의 문제가 아닙니다
글의 기준이 하나로 일관되게 흐르는 글에서는, 기준점잡고 빠르게 속독(하향식)하다가 보기 구성에서 오류가 났을때 다시 상향식으로 보기 소거를 하게되고
실험지문 같은경우에서는 전부 다 읽으면서 (상향식) 내용을 완성하고, 거기서 기준점을 세워서 다시 읽어보고 보기를 지워보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ㄴ 겁나 길게 쓰려던것을 최대한 짧게 쓰려고 노력했습니다. 감사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3시 55분에 학교 가면 지각처리인가요
-
고딩 분들 7
수학 내신 어떤 책으로 대비 하세요?
-
?
-
친구여친 친구가 야구장 데리고 다니더니 결국 유니폼사고 막 인스타에 야구글도...
-
카택 호출 취소 0
카택 호츌 취소하고 하고 다시 부르면 더 오래걸리나요? 오늘 거의 10분 기다림
-
수능시간표처럼 점심밥먹고 1시부터 공부시작하면 꼭 3시넘어서부터 슬슬 배고파져서...
-
뭘로 대비하심? 일품 블랙라벨 너기출 아직도 푸나
-
3월부터 시작했고 1학기는 학고받고 할 생각입니다. 일단 공부 안한지 3개월...
-
탄핵 될 거 같습니다. 아까 잠깐 잠들었는데 꿈속에서 심멘이 나타나서 “탄핵“...
-
걍 기출부터 할까
-
왤케 배부르지 4
음냐링
-
작수 언매 미적 영어 사문 지구 94 87 1 95 74고 지구버리고 한지하는중인데...
-
준비가 많이 다르나? 수능 준비하다가 내신 보는거 아닌가? 어떻게 접근 해야하지?
-
오렌지다
-
2학년때는 학점을 잘 받아야하지만 아직 정신을 차리지 못한듯 열정이 읍서 열정이
-
문제를 하나 풀었다고 해서 그 문제에 대한 학습이 끝난 게 아닙니다. 하나의...
-
높공인가여
-
끝나고 뒤에 다음수업있던거 깜빡하고 집옴 어쩐지지하철에사람이적더라
-
한화 이글스는 2
왜 인기가 많아요?
-
조정식 voca랑 vocabulary랑 책 다르던데 차이 있음? +어플은 뭐임
-
감이 안잡힌다 요즘 수학 내신 교재 뭐씀? 본인은 정석 쎈 했었는데...
-
저녁은 치킨 시켜먹을까 10
맛있는 치킨추천좀
-
과학기술 지문은 진짜 어마어마하다... 풀다가 토할뻔
-
삼수기록 6일차 0
국어 기출 2016수능 항부력 리트300제 2022 4-6 수학 수1 4의규칙 수열...
-
나도 살짝 맘속으로 안 되었으면 하긴 한다만 (솔직히 주변사람들 때문에) 지금 안...
-
참지못함
-
못참잖아
-
2026학년도 서울대 입학전형 안내(2025년 04월01일 발표) 0
2026학년도 서울대 입학전형 안내(2025년.. : 네이버블로그
-
님들 내일뭐할거임? 12
1윤씨 관심없고 공부하기 2.하루종일 뉴스보기,정치커뮤보기
-
반수의 아이러니 4
6월부터 달려서 될 지능이 작년 1년 달려서 왜 안되는
-
의대,약대,서울대 선배들이 직접 본인의 경험담을 공유해주는 무료 세미나가 있어...
-
심각함 곧 죽으려고 그러나
-
높게 잡으면 국숭세가 공대 현실적으로는 인가경 광명상가 공대 갈것 같습니다
-
혹시 시대 수학컨(브릿지,엑셀) 사실 분 계신가요? 3
* 2026 브릿지 4회(판완) * 2026 브릿지 전국 4회(판완) * 2026...
-
"강철용기"
-
반수러라 시간도 없고해서 컴팩트한 전형태t 풀커리 타려는데 들어보신분들 어땠나요? 좋나요?
-
조한창 김복형 정형식 김형두가 기각해서 그냥 기각될듯
-
산에 있어서 ㅅㅂ 다리아파
-
의외로 국어와 비슷한 점이 있다 다만 국어에서 독해하다보면 눈에 들어오는...
-
인용이냐 기각이냐 각하냐
-
07현역정시 설대 심심한 캬
-
설대 말고는 인설공 거의 다 미적기하 가산도 없는 걸 방금 전에 알게 됬는데,...
-
제가 9월에 자퇴해서 2차 검고만 볼 수 있어서 학원, 학교 응시 다...
-
얼버기 10
사실 구라고 학원알바가는중 오늘 하루 힘내봅시다
-
전교과기준 내신 3.8(2학년 2학기까지)이고 생기부는 평범한 편입니다. 마지노선...
-
사문 언제 떡락함?
-
응가 1. 명사 어린아이의 말로, 똥이나 똥을 누는 일을 이르는 말. 2. 감탄사 어린아이에게 똥을 누라는 뜻으로 내는 소리. 1
응가 1. 명사 어린아이의 말로, 똥이나 똥을 누는 일을 이르는 말. 2. 감탄사...
굳이 체크가 필요없는 파트를 아예 날려버리는 학생이 있는데, 해당 부분도 하향식 독해의 한 파트라고 보시면 됩니다. 1,3,5,7,9,11 등차수열에서 5 부분 빈칸뚫려있다고 문제되는게 아니니깐
관련해서 최근 논문은 없고 2000년대 학위 논문이 하나 있는데, 해당 논문 (하향식 읽기 과정에 기반한 수능 영어 영역 독해 문항 분석 및 전략 . 김성민 2005) 에서는 위와 같이 분류하였지만, 저는 좀 달리 분류합니다. 모든 지문은 통합모델이고 그 안에서 상+하향식이 gradient 하게 분포되었다고 판단합니다.
난 거의 하향식으로만 글을 읽네 비문학도 저래 읽는디
넵 사람은 자동완성 기능이라는게 있어서
그럼 고난도를 맞추려면 상향식도 연습해야겠죠?
넵 당연히. 이렇게도 풀어보고 저렇게도 풀어보고 하는게 좋습니당. 아예 큰 틀 못잡고 세부적인거 읽어야 풀수있는 빈칸추론도 있음. 대의만 물어보는ㄱ ㅔ 아니기에
고맙습니당
얏호
감사합니다!
감사감사
둘은 다른 게 아닌 것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