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연경제에 대한 최종 분석
해당년도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모집인원=a | 83 | 86 | 99 | 78 | 76 |
지원자수=b | 295 | 286 | 393 | 257 | 199 |
추가합격인원=c | 56 | 49 | 55 | 42 | x |
점공이용자수=d | ? | 242 | 160 | 128 | |
최초합격자=e | 1등~90등 | 1등~70등 | y | ||
추가합격자=f | 91등~138등 | 71등~106등 | z |
우리는 과거 입시 결과를 통해 올해, 더 나아가 미래까지 예측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예측은 단순한 예측이 아닌 과거 입시 결과 즉 빅데이터에 기반한 예측입니다. 그렇기에 필자는 통계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올해 연경제를 분석하기로 했습니다.
제가 예전에 작성했었던 게시글 중 '모집 인원의 중요성' 이라는 글이 있는데 그 글에서 대형 모집 단위의 특징은 안정성이라고 말씀드린적이 있습니다. 이런 안정적인 데이터들이 쌓이고 쌓이면 비로소 통계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신뢰도도 매우 높을 것입니다.
그러나 통계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올해 연경제를 분석하기에 앞서 변수들간의 상관 관계를 체크하는 과정에서 소위 말하는 '튀는 값'들을 발견했습니다. 통계에서 튀는 값들을 발견하면 골때리게 되는데 여기서 튀는 값들이란 쉽게 말해서 이질적인 값이라 할 수 있습니다.
위 표에서 모집인원, 지원자 수 등은 변수이며 x, y 등은 우리가 알고자 하는 값들이니 미지수가 됩니다. a, b는 편의를 위해 변수를 문자화한 것이고요. 그럼 표를 이용해 튀는 값을 한번 찾아 보도록 하죠.
우선, 총 합격자 수/지원자 수=a+c/b라고 정의할 수 있는데 편의를 위해 이를 문자 k로 나타내겠습니다. 즉 변수들의 상관 관계 k가 정의되는겁니다. 이 k값을 4개년의 데이터들을 이용해 표로 나타내니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습니다.
해당년도 | 2016 | 2017 | 2018 | 2019 |
k=a+c/b | 0.47 | 0.47 | 0.39 | 0.47 |
놀랍게도 2018년도를 제외한 나머지 k값들은 동일하게 0.47로 나타났습니다. 이것이 바로 대형 모집 단위의 특징인 안정성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안정적이기 때문에 변수들간의 상관 관계가 동일하게 나오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유독 2018년도에만 0.39라는 이질적인 값이 나왔는데 이것이 바로 튀는 값입니다.
만약 2018년도의 k값이 0.47이 나왔다면 올해 2020년도의 k값도 0.47일 것이므로 올해 2020년도 연경제의 추가 합격 인원인 x값은 18이 됩니다.
엥? 올해 연경제 추합 인원이 18명이 될거라고요?
여기서 튀는 값의 중요성을 알게 됩니다. 만약 2018년도의 k값이 0.39가 아닌 0.47로 나타났다면 우리는 곧이곧대로 올해 2020년도 연경제의 추합 인원을 18명이라고 단정지어 버릴 것입니다.
그러나 현재 연경제의 점공 상황을 봤을 때 서울대로 빠질 인원은 적어도 35명으로 보입니다. 이 말은 k값의 신뢰도가 높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튀는 값이 있기에 k값의 신뢰도가 높지 않음을 추정할 수 있는 것입니다.
우리는 이제 k값의 신뢰도가 낮으니 k값이 쓸모가 없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그런데 왜 k값에서 튀는 값이 발생할까요? 그 이유는 바로 k값에는 경쟁률이라는 외적 변수가 영향을 주는데 우리가 그것을 간과했기 때문입니다.
k의 정의를 다시 살펴보면 k=모집 인원+추합 인원/지원자 수이므로 나누는 수인 지원자 수에 따라 k값이 천차만별로 바뀐다는거죠. 즉 우리는 지원자 수 즉 경쟁률이 k값에 주는 영향력을 간과한겁니다. 실제로 2018년도에만 경쟁률이 약 4:1이었고 나머지 년도의 경쟁률은 약 3:1이었습니다.
지금부터 본격적으로 x, y, z, 값들을 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k값처럼 경쟁률 등 외적 변수에 최대한 영향을 안 받도록 변수들간의 상관 관계를 다시 정의해야합니다. 즉 외적 변수라 할 수 있는 경쟁률에 영향을 크게 받는 변수인 b값을 제외한 변수 a, 변수 c를 이용해 이 둘의 상관 관계를 정의하면 됩니다. 여기서 또 주의해야 할점은 변수 a와 변수 c가 외적 변수에 영향을 받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우선 변수 a는 모집 인원이므로 외적 변수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문제는 변수 c입니다. 변수 c는 연경제의 추합 인원인데 연경제의 추합 인원은 서울대 입결에 영향을 받지만 그 영향력은 미미하기에 변수 a와 변수 c의 상관 관계를 정의하면 됩니다.
이것을 e로 정의하면 e=c/a가 됩니다.
해당년도 | 2016 | 2017 | 2018 | 2019 |
e=c/a | 0.67 | 0.57 | 0.54 | 0.56 |
이번에도 튀는 값이 발견됬습니다. 하지만 괜찮습니다. 2016 연경제는 빵구가 발생했기에 우리는 정상 입결을 기록한 2017, 2018, 2019년도의 e값을 사용하면 됩니다. 지금까지의 내용들을 종합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외적 변수인 경쟁률을 고려하지 않고 k값을 정의하여 2020 연경제의 추합 인원을 예상하려니 2018년도의 k값이 튀므로 2016년도, 2017년도, 2019년도의 k값만을 이용하려 했으나 올해 경쟁률이 2:1대이므로 과감히 k값을 버림, 만약 2016년도, 2017년도, 2019년도의 경쟁률이 올해 경쟁률과 비슷했거나 또는 올해 경쟁률이 2016년도, 2017년도, 2019년도의 경쟁률과 비슷했다면 k값을 사용했을 것
2. k값과 다르게 외적 변수의 영향을 받지 않게 e값을 정의하여 2020 연경제의 추합 인원을 예상하려니 여전히 튀는 값이 존재하지만 그 튀는 값에 해당하는 2016년도에만 빵구가 발생했으므로 2016년도의 e값만 과감히 버림
2017년도, 2018년도, 2019년도의 e값들의 평균을 구하면 0.56이므로 이 수치를 이용해 올해 연경제 추합 인원에 해당하는 x값을 구하면 x/76=0.56
x=43
이렇게 최대한 외적 변수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각 변수간의 상관 관계를 정의한 후 y,z의 값들을 구해보면 y=67, z=103이 됩니다.
따라서 올해 연경제 최종 컷은 연대식 기준으로 740.89점이 될 것입니다.
언제까지나 개인적인 예측입니다. 참고용으로만 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와 그럼 길거리 사람들 10명중 7명은 물인거임? 좀 소름돋네...
-
다른 대학생 개강하는 동안 틈새시장 노려볼 수 있으료나
-
롤이나 해야지 11
흡
-
근무 끝 9
히히히 하지만 남은 불침번..
-
펌은 첨이라서 일단 더 알아보고 개강 전에 받거나 말거나 할거임 성급하게 결정할 필요 없잖슴
-
저 현역인데 개학하면 흐트러질까봐... 조언 한마디씩 해주십쇼 선생님들
-
오르비에서 이정도 도파민을 느낄 기회가 얼마나 있을까 싶다 ㅋㅋ UFC 즐거웠다.
-
꼬시고 도망만 감
-
1...1등급... 주세여...
-
응애
-
자기들이 찐따같은 행동 하고 있는걸 자각은 하겠지?막, 자기들을 오르비를 수호하는...
-
가야한다니...
-
나도 저격 당할까봐 무섭다
-
성적기만, 성 적 기만, 외모기만, 거기다 수많은 남자들 어장관리까지 저격안받을 이유가 없는데
-
민주당교육원장 2030 비하 논란... "생각 없어... 말라비틀어지게 해야" 3
박구용 더불어민주당 교육연수원장이 우파 진영을 지지하는 2030 세대를 겨냥해...
-
아이고야
-
제가 풀줄 아는 문제 기준(공통) 1~10 16~19 이렇게입니다.. 제가 마음에...
-
갈매기가 응가합니다
-
대전에서 8세 여아 교내에서 흉기 찔려…경찰 "사망추정" 16
30대 여성 돌봄교사도 흉기에 찔려..생명에 지장없어 오늘 오후 3시쯤 대전시 서구...
-
무슨일이에요 8
대충만이라도 알려주실분....
-
있나요 무물보도 받아요
-
지들끼리 인증사진 박제나 하며 낄낄대는 도태한남새끼들은 걍 혀깨물고
-
나도 껴줘…
-
하는 짓에 맞게 오르비언 야리돌림 갤러리 같은거로 만들지
-
내가 182인데 나랑 비슷하거나 나보다 큰 고딩들 왤케 많음
-
거기에 반응하는 사람도 있을수 있을거란 생각은 왜안함?
-
글은 누구보다 ㅈ같지만 12
조금도 잘생기지 않았으면 7ㅐ추 ㅋㅋ
-
진짜 좀 많이 찐따같긴 해사실 그냥 커뮤니티만 해도 이게 현실에선 좀 찐따여도?...
-
서운해서운해질투나 친구애인이랑맞짱까고싶어
-
이게 현실에서 표출못해서 글로 하더라 내 레이더가 다 포착함
-
작년 6월까지 인수분해만 할 줄 알았음,정의역치역 뭔지도 모르고 1차함수 재대로...
-
아직은 아니니까...
-
드가자잇
-
엄 준 식
-
앞으로 정상적인 글과 양질의 칼럼으로 돌아올 예정입니당 다들 사랑해요오
-
고수)캡쳐해서
-
흠냐뇨이
-
얼버기 3
ㅎㅇ
-
매일 1.5~2시간 정도 투자 가능합니다 그리고 설수의 가려면 과탐 둘 다 1컷이라...
-
168/80잉데 돼지 아닌거같은데
-
부우우ㅜㅜ웅 1
끼이ㅣ이ㅣㅣㅣ익
-
프사 바꿈 0
귀여운걸로 바꾸기
-
늘 있는 wwe 1
다음 저격 기대해
-
고수) 오르비 과외에서 여자선생님 클릭
-
맨 앞에 앉은 남자 개거슬림. 옆에 여자한테 자꾸 말 거는데 너 얼굴보고 싶지...
-
은테 이상 고닉 중 비갤에서 적극적으로 저격하는 유저 있으면 소름끼칠듯
-
소..솔직히.. 1
ㅇㅈ사진..캐...캡처..하는건...좃또..헨..헨타이..라고..생..생각해요
-
어렵고 참신하게 하나 나오면 정답률 개 낮을 거 같은데
-
칼럼러학력구경좀해볼까
740.89가 누백으로 얼마정도예요?
GS 식 0.5 중반일 겁니다
0.5xx 일듯
분석글 감사드립니다
gs 코석기 예상점수가 740.9이었던걸로 기억하는데.... 재밌네요
3.3 기준으론 740.59 인데 맞다면 ㄷㄷ
정말 그분은 입시계의 거물이신 것 같아요. 저 머띵좌 도저히 따라가질 못하겠습니다.
아 바로 앞에서 끊기게 생겼다...
꼭 붙으실겁니다.
혹시 정외도 해주실 수 있나요...?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내용에 살을 덧붙이니 훨 좋네요
그리고 통계라는게 확실하게 찝어서 이야기를 할 수 없기때문에 좌우로 진동할거 생각하면 높으면 741 낮으면 30중반대까지로 볼 수 있겠네요.
공감합니다. 통계를 입시에 적용하니까 더 복잡해지더라고요. 저도 개인적으로 연경제 컷좀 내려갔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ㅊㅊ
네? 전 수험생 아닙니다.
이 글에 추천을 한다는 뜻이였습니다
그렇군요. 감사합니다.